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기본-1]EPS(주당순이익)이란 무엇인가?

by 재테크돌이 2021. 1. 2.
728x90

주식을 처음 입문하는 사람들에게 여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주식기본기를 다지는 주식기본 시리즈를 한 번

 

기획해보았다. 무엇을 다룰까 하다가 아무래도 어떤 한 분야를 알고자 하면

 

용어부터 익숙해져야 하는게 우선일거 같아서 주식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EPS라는 단어를 많이들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미 익숙한 사람도 있고, 막연하게 느껴지는 사람도 있고, 처음 접하는 사람도 있을테지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영어로 된 단어이다보니 낯설게 느껴질 뿐이지 알고 나면 어려운 내용은 아니기 때문이다. 

 

 

 

EPS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기 위해 네이버를 통한 검색을 해보았다.

 

EPS 네이버 검색결과

여러 의미를 갖겠지만 주식관련 용어에서는 당연히 1주당 순이익을 의미하는 「Earnings per share」이다.

 

여기서 'Earnings'는 한국말로 이야기하면 수입이 된다. 'earn'이 수익을 올리다, 얻다와 같은 동사인데 

 

이를 -ing 접미형태로 붙여 명사화하면 수익이라는 명사라는 용어가 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영어시간도 아닌데 왜 이런 이야기를 하냐고 하면, 이런 식으로 기억에 넣어둬야 오래 기억하기 때문이다.

 

'share'는 주식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per'는 익숙한 사람은 익숙하겠지만 기호로 사용하면 '/'이다.

 

즉 나눗셈을 의미하거나 분수와 같은 비교에 사용하는 단어이다.

 

 

정리하면 위와 같다. 이것을 한국말로 번역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순이익은 보통은 당기순이익을 사용한다. 주식수의 경우에는 발행주식수를 대입하면 우리가 원하던

 

EPS를 구할 수 있는 것이다. 

단, 특별이익이 영업이익 대비 과도하게 잡히는 경우에는 EPS를 계산할 때에는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좋다. 특별이익의 경우 매해 발생하는 것이 아닌 1회성 이익일텐데 과도하게 계상될 경우 EPS가 과도하게 잡혀 적정주가를 산출할 때 오류를 범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정보는 사실상 거의 HTS에서 제공하고 있다.(요즘 사람들이 많이 쓰는 MTS에서도 제공)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계산해볼 필요는 없다.

 

각 증권사마다 다르지만 보통은 종목을 검색한 후에 기업정보란을 보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

한화시스템 EPS(키움증권 HTS화면)

위는 키움증권에서 한화시스템이라는 종목의 EPS를 찾아보았다. 706원으로 나와있고 이는 최근 실적들이 반영되면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EPS는 결국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이는 금액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쉽게 이해하기 위해 비유를 해보자면 모든 주식수는 살아있는 사람이되, 그 기업의 노동자로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각자 맡은 업무를 통해 기업은 이익을 발생하고 그 이익을 임직원수(=주식수)로 나누면 EPS가 되는 것이다.

 

 

즉, EPS는 높으면 높을수록 그 기업의 성장이 담보되고 주식은 가격이 오르게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HTS에서 확인되는 EPS는 보통 최근 실적보고서의 이익을 기반하거나 작년 이익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미래의 EPS를 확인할 수는 없다.

 

 

더군다나 주식은 일반적으로 경기 선행지표로서 현재 주식가격은 과거의 이익을 추종하지 않는다.

 

즉, 우리가 HTS에서 확인한 EPS는 이미 오랜 시점에 주식가격에 반영되었기 때문에 앞으로의 적절한 주식가격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직접 계산해보아야할 것이다.

 

 

그러나 네이버증권 같은 포탈에서 일부기업의 경우 컨센서스란을 통해 향후 EPS를 추정해볼 수 있다.

 

이것은 각 증권사의 애널리스트들이 추정한 향후 이익을 기반으로 하여 발행주식수를 나눈 값이다. 따라서 추정치이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다. 

 

아래는 한화시스템 종목을 네이버증권에서 검색하여 종목분석 > 컨센서스탭에서 살펴본 결과이다.

한화시스템 컨센서스 분석자료(네이버증권)

아까 키움증권에서 기업정보로 본 EPS는 2019년 12월을 기반으로 하여 706원이 산출되어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

 

고, 20년, 21년, 22년에 대한 EPS 추정은 661원, 755원, 840원으로 예상된다는 결과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업계 전문가들이 추정한 자료를 활용하여 향후 EPS를 확인할 수도 있는 것이다.

 

아니면 어느정도 분석실력이 생겼을 때 직접 산업의 업황을 조사하여 해당 기업의 EPS를 추정해도 된다.

 

결국 그런 방식으로 노력해야 남들보다 정확하게 그 기업의 실적을 추적할 수 있고, 그런 판단하에 투자해야

 

안전하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간략하게 알아보았는데 이를 통해 EPS란 무엇인지 이해가 되었을지 모르겠다.

 

어째든 주식을 시작함에 있어서 이런 용어는 반드시 친숙해져야 하고, 이해하고 있어야만 한다.

 

다음 글에서는 다른 주식용어를 알아볼 것이며 이해가 가지 않는 용어는 여러차례 읽어서 꼭 자기것으로

 

만드기를 추천하는 바이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