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초보4 [주식기본-4]PBR(주가순자산비율)이란 무엇인가? 이번에는 PBR이라는 용어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자. PBR 역시 BPS처럼 자산과 관련된 지표이다. 'B'라는 약어가 'Book-value'라는 의미가 숨어 있다는 것을 기억하자. 네이버에 검색했더니 간략하게 나와있다. 다시 지식백과를 검색해보면 아래와 같다. 대체로 PBR에 대해 정의된 내용이 있는지 검색해보았더니 '주가를~'이라는 서술하는 형식으로만 되어있고 EPS(주당순이익), PER(주가수익비율), BPS(주당순자산)처럼 용어가 딱 정립되어 있지 않아 나름 스스로 동일한 방식을 차용하여 「주가순자산비율」로 정의내려 보았다. 저런 서술형 형태보다는 기억하기 쉽지 않을까 싶어서 말이다. 아래는 PBR을 수식으로 정리해보았다. BPS라는 개념을 이해해야한다. BPS는 1주당 순자산가치를 의미함. 그리.. 2021. 1. 2. [주식기본-3]BPS(주당순자산)이란 무엇인가? 지난 번에는 이익과 관련된 용어들을 알아보았다. 내가 쓰는 설명방식이 잘 이해가 되는지 모르겠지만, 어째든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하고 이 시리즈를 계속 이어나가도록 하겠다. 이번에는 이익과는 다른 자산에 관한 용어이다. BPS라는 단어는 사실 요즘 잘 사용하지는 않지만, 개인적으로는 이 지표를 무시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지금과 같은 강세장에서는 PER과 같은 지표가 중요시 되고 반대적인(?) BPS라는 지표가 도외시되는데 이 길고 긴 상승장이 마무리 되고 약세장이 돌아온다면 그때는 다시 이 지표를 중요시 여기게 될수도 있다. 그래서 오늘은 BPS를 알아보도록 하자. BPS를 네이버에 검색했더니 찾기 어려웠지만 어째든 어학사전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용어를 보면 어딘지 모르게 친숙한 느.. 2021. 1. 2. [주식기본-2]PER(주가수익비율)이란 무엇인가? 지난 번에 이어서 주식기본 시리즈 2편을 바로 작성해볼까 한다. 사실 PER에 대해서 먼저 쓰고 싶었는데, PER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EPS라는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해서 지난 번에 EPS를 먼저 설명할 수 밖에 없었다. PER는 무엇일까? 주식을 조금이라도 했으면 역시 들어보았을 것이다. 여기서 PER는 earning per share의 per와는 다른 내용이다. 사람들이 검색을 많이해서일까? 영어사전에서 검색하면 가장 먼저 나온다. 지식백과를 찾아보면 주가수익비율이라고 나오면서 위 화면을 볼 수 있다. 어려운 내용같아 보여서 읽고 싶지 않아질 수도 있다. 정리해보자. PER란 「Price-Earnings ratio」이다. 'price'는 가격을 의미하고 'earnings'는 지난 시간에 배웠듯이 이익을.. 2021. 1. 2. [주식기본-1]EPS(주당순이익)이란 무엇인가? 주식을 처음 입문하는 사람들에게 여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주식기본기를 다지는 주식기본 시리즈를 한 번 기획해보았다. 무엇을 다룰까 하다가 아무래도 어떤 한 분야를 알고자 하면 용어부터 익숙해져야 하는게 우선일거 같아서 주식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EPS라는 단어를 많이들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미 익숙한 사람도 있고, 막연하게 느껴지는 사람도 있고, 처음 접하는 사람도 있을테지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영어로 된 단어이다보니 낯설게 느껴질 뿐이지 알고 나면 어려운 내용은 아니기 때문이다. EPS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기 위해 네이버를 통한 검색을 해보았다. 여러 의미를 갖겠지만 주식관련 용어에서는 당연히 1주당 순이익을 의미하는 「Earnings per share」이다. 여기서 'E.. 2021. 1. 2.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