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한국인은 왜 주식으로 돈을 벌지 못하는가?-1부

by 재테크돌이 2021. 1. 2.
728x90

사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정보를 전달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지만 투자적인 마인드를 공유하는 일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그동안 일단 어느정도 정보들을 채워야한다고 생각해서 한 번도 글을 쓴 적은 없었다.

 

 

어째든 부동산, 주식, 채권, 펀드 등 투자라는 행위를 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투자철학이라고 생각한다.

 

투자철학이란 무엇일까? 과연 스스로에게 물었을 때 고민해본 적이 있고, 자신만의 투자원칙이 있다고 답할 수 있으면

 

그는 훌륭한 투자자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투자원칙을 꾸준히 지키고 있다면 이미 상당한 수준의 투자자라고 확신한다.

 

그만큼 투자철학을 갖추고 투자원칙이 있다는 것은 투자자로서 매우 중요한 일이며, 가장 우선시되어야 할 영역이다.

 

자신만의 투자원칙을 세우기 어렵다면 고수 혹은 성공한 투자자의 투자원칙을 벤치마킹해도 된다.

 

중요한 것은 투자철학을 갖고 있는 상태에서 남의 것이든 자신의 것이든 투자원칙을 고수하고 지키는 것이다.

 

 

 

이런 투자원칙과 철학의 중요성 때문에 블로그를 개설할 때 가장 먼저 투자철학에 대한 카테고리를 만들었지만

 

아무래도 쉽게 글을 쓸 수 없고, 정제된 내용을 전달해야 하기에 미루고 미루다 오늘에서야 이 주제에 대해서

 

글을 써본다.

 

 

 

2020년, 벌써 작년이라 부르는 한 해 동안은 부동산시장과 주식시장 양대 시장이 뜨겁게 달아올랐다.

 

시점의 문제이거나 종목의 문제이겠지만 특정 섹터만 투자하여 손실을 본 경우가 아니라면 아마 대다수는 작년 한 해

 

두 시장 어디이건 참여를 했다면 괜찮은 수입을 올렸을 것이다.

 

아마도 주식시장에 참여한 개개인들이 가장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해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2021년에는 더욱 조심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서는 차후에 다른 글에서 다루겠지만, 어째든 작년에 벌어들인 수익은 물론 자신의 잘 선택해서

 

올린 수익이기도 하지만 시장 장세가 강한 장세를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래서 작년에 처음으로 주식시장에 발을 들인 사람이라면 현재의 수익에 도취되지 말고 더욱 꾸준히 공부하여

 

일회성 수익이 아닌 지속적인 수익으로 키워나가야 한다.

 

그런 과정에서 투자원칙 정립은 반드시 해야할 일이다.

 

 

서두가 길었는데, 그렇다면 원래 주제로 돌아가서 왜 그동안 한국에서 주식투자를 하는 경우 수익을 올린 사람이

 

없고 대부분 손실을 경험해야만 했을까?

(서두가 길었던 것은, 작년에 처음 주식에 참여한 사람이 워낙 많고 대다수가 수익을 올렸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한국인의 주식투자 실패경험을 이야기하면 아닌데? 다른데 라는 반응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길고 지루할지 모르지만 긴 서두를 쓰게 되었다)

출처: 대한금융신문

그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자.

 

이것은 주로 나의 경험에서 비롯된 내용이기 때문에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은 글을 읽는 사람의 주변환경과 주변인들의 상

 

황과 일치한다고 확언할 수는 없다. 그 점을 우선 이해해주었으면 한다.

 

 

 

내가 주식시장을 관찰한 경우 대다수의 한국인 투자자는 단기 '시세차익'의 관점에서 주식시장에 접근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단기적인 시세차익을 노리기 때문에 항상 고전을 면치 못하는 것이다.

 

왜 단기 시세차익에서 수익을 얻기가 어려울까?

 

 

 

일단 첫 번째로 시장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주식시장이라는 것은 다수의 참가자, 기업, 기관 여러 주체가 모여서

 

주식을 거래하는 곳을 말한다. 그렇다보니 각자의 생각이 모두가 다를뿐 아니라, 다른 전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떤

 

사람은 이 가격이 비싸다고 느껴 매수를 하지 않거나, 가지고 있는 종목을 매도할 것이다. 반대로 어떤 기관은 그 주식이

 

저렴하다고 여겨 그 주식을 매수하거나, 반대로 가지고 있는 종목을 보유하는 전략을 펼칠 것이다.

 

다수의 플레이어라는 변수가 있는데다가, 주식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요소는 너무 많다.

 

간단하게 예를들면 환율, 유가, 원자재가격, 금리, 다른 투자시장 등등 이런 모든 변수가 녹아있는데다

 

무엇보다도 실시간이라는 점이다. 어떤 이슈가 발생하면 그것은 즉각적으로 반영되어 시세에 영향을 준다.

 

한 개인이 이 모든 것을 알기에는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주식시장에 대한 예측이나 전망관을 갖되, 맹신해서는 안되고 자신의 예측관과

 

전혀 다른 환경이 펼쳐졌을 경우에 적절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두번째로는 매수와 매도가 반복되면 확률이 낮아진다. 주식은 언제나 확률이 존재하는 일종의 게임과 같다.

 

상승할 것인가, 하락할 것인가 물론 50:50의 확률이라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그것은 투자가 아닌 도박일테니까..

 

다만 앞서 말한거처럼 개인이 장세를 예측하기 어려운데 한 종목의 단기적 관점에서 등락을 예측하는 것 역시

 

어렵다. 즉 이것이 반복되다보면 틀릴 경우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매수/매도가 반복되면 손실율이 커진다. 이것은 두번째 사유와 사실 상관관계가 매우 깊다.

 

두가지 예를 들어보자.

 

Case1)

-보유종목 A가 10%수익이 발생하여 매도하였다. > 수익 10%

-이 자금으로 B를 매수하여 손실이 10% 발생하였다. > 손실 10% > 110% * 0.9 = 99%

-총합 : -1% 손실

 

Case2)

-C가 우량하다는 소문을 듣고 매수하였으나 10% 손실이 발생하였다. > 손실 10%

-C는 매도하고 열심히 공부하여 D라는 종목을 통해 수익을 10% 달성하였다. > 수익 10% > 90%*1.1 = 99%

-총합 : -1% 손실

 

사실 수학적으로 보면 Case1이나 Case2는 곱셈의 위치변경이라 같은 내용이기는 하다.

 

어째든 이야기하고 싶은 핵심은 똑같은 횟수에 동일한 퍼센트로 수익과 손실이 계속 발생한다면 결과적으로는 손해

 

라는 것이다. 거기에 + @를 해야할 것이 거래세 및 수수료이다.

※물론 거래세를 점차 폐지하고 양도소득세로 과세를 변경하려는 정부 움직임이 있기는하다.  수수료의 경우는 이벤트를 통해 비대면 계좌개설을 할 경우 평생 무료이거나, 아주 극소수의 수수료가 붙기는 하지만 어째든 수수료는 대체로 존재한다.

즉 이런 패턴이면 종국에는 손실이 난다는 이야기이다. 

 

 

따라서, 단기적 접근은 개인투자자에게 매우 불리한 조건이다.

 

더군다나 알아야할 것은 스포츠같은 경기는 체급별로 나누어 경기가 진행되고 우승자를 가리지만 주식시장은 그렇지 않

 

다는 점이다. 매우 숙련되고 노련한 투자가와 오늘 막 주식시장에 입문한 투자가가 같은 스테이지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겨루기 때문에 정보력이나 대응력이 떨어지는 일반 개인투자자에게 유리한 조건은 아니다.

물론 요즘 전자공시라는 제도를 통해 정보의 비대칭도 많이 해결되었고 정보가 빠르게 공급되기는 하나, 일반 개인투자자의 경우 전업이 아니라서 실시간 대응도 느릴 수 밖에 없다.

 

 

이런 모든 점을 고려해보면 개인투자자에게 유리한 조건이 아니기에 단기투자로 접근할 경우 손실이 발생할 확률은 매

 

우 높다는 이야기이다. 

※주식에서 무조건 개인투자자가 불리하여 손실을 본다는 내용은 절대로 아니니 오해하지 마시라.

 

아마 이 글을 읽는 대부분은 주변 주식투자 패턴을 한 번 찾아보길 바란다. 단기적으로 접근하여 시세차익을 노리는

 

사람이 많은지, 아니면 꾸준히 공부하고 좋은 기업을 보유하여 장기적인 수익을 추구로 하는 사람이 많은지 말이다.

 

물론 요즘은 후자의 케이스가 점점 늘어나고 있고 주식투자 환경도 점점 더 개선되고 있어 향후 전망은 좋게 보인다.

 

어째든 이런 점에서 개인투자자가 단기시세차익으로 접근시 손실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어느정도 이야기하고

 

싶었고 다음 장에서는 그럼 단기투자자가 아닌데도 손실이 발생하는 유형에 대해서 한 번 이야기해보도록 하겠다.

728x90

댓글